728x90 반응형 나의 작은 일기장590 [재밌다, 이 책!] 벼슬 대신 예술 벗 삼은 '선비 화가'… 그의 자화상은 국보 240호랍니다 [재밌다, 이 책!] 벼슬 대신 예술 벗 삼은 '선비 화가'… 그의 자화상은 국보 240호랍니다 시대를 앞서간 선비화가 윤두서|박은순 글|나무숲|48쪽|1만500원 매서운 눈을 한 남자가 험상궂은 표정으로 정면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네요. 뜻밖에도 이 그림의 주인공은 온화하고 겸손하기로 소문났던 선비 화가인 윤두서(1668~1715)가 그린 자화상입니다. 다산 정약용의 외증조부이기도 한 인물이에요. 윤두서는 1668년 전라남도 해남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어요. 명망 있는 증조부 윤선도, 글씨로 유명한 할아버지 윤인미의 피를 받아 어릴 적부터 시를 잘 짓고 글씨를 잘 썼다고 해요. 스물다섯 살에는 과거 시험에도 합격했답니다. 하지만 윤두서가 스물여덟 살 되던 해, 셋째 형 윤종서가 임금에게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 2020. 9. 25. [세상을 바꾼 물건] 고대 이집트인이 정한 '1년=365일'… 로마 율리우스력부터 '윤년' 도입했죠 [세상을 바꾼 물건] 고대 이집트인이 정한 '1년=365일'… 로마 율리우스력부터 '윤년' 도입했죠 달력 일주일, 한 달, 12개월로 나누는 오늘날 달력 기준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요? 인류는 기원전 3500년쯤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부터 달이 차고 기우는 주기를 기준으로 한 달을 약 29일로 보는 '음력'을 만들었다고 해요. 당시 시간의 변화를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천체는 오직 달이었기 때문이죠.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양력'은 기원전 3000년쯤 나일강 유역을 중심으로 세워진 이집트 문명에서 비롯된 것이에요. '음력'이 달의 공전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달력이라면, 양력은 지구의 공전주기(365.25…일)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달력입니다. 지구의 계절 변화나 기온의 변화가 사실 달이 아니라 .. 2020. 9. 25. [화폐로 세상 읽기] "여긴 백인석이다"에 저항… 32세 미용사가 세상을 바꿨다 [화폐로 세상 읽기] "여긴 백인석이다"에 저항… 32세 미용사가 세상을 바꿨다 캐나다 10달러의 '비올라 데즈먼드' 영연방 국가인 캐나다는 화폐의 주인공으로 역대 남성 총리들과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을 싣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2018년 캐나다 중앙은행이 '캐나다 10달러' 지폐에 비올라 데즈먼드(1914~1965) 를 넣겠다고 발표했어요. 중앙은행이 10달러 지폐 인물로 들어갈 여성을 선정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비올라 데즈먼드가 선정된 거죠. 기존 10달러 인물은 캐나다 초대 총리인 존 알렉산더 맥도널드였는데, 처음으로 여왕이 아닌 일반인 여성, 그것도 흑인 여성이 화폐의 주인공이 된 거예요. ◇"흑인은 2층 좌석으로 올라가라" 비올라 데즈먼드는 캐나다 흑인 인권.. 2020. 9. 24. [뉴스 속의 한국사] 100년 전 모던보이의 '핫플'… 처음엔 '남대문역'으로 불렀죠 [뉴스 속의 한국사] 100년 전 모던보이의 '핫플'… 처음엔 '남대문역'으로 불렀죠 옛 서울역 이번 추석 서울의 귀성객들은 서울역, 용산역 등에서 열차를 타겠지만, 2004년 고속철도인 KTX가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많은 귀성객이 몰리던 곳은 옛 서울역사였답니다. 그런데 옛 서울역의 이름이 '남대문역'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오늘은 옛 서울역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처음엔 '남대문 정거장'이라 불러 서울역이 처음 생긴 것은 지금으로부터 120년 전인 1900년이었어요. 한 해 전인 1899년, 인천에서 노량진까지 이어지는 우리나라 첫 철도인 경인선이 준공됐고, 이어 한강철교가 완공되면서 한양도성 근처까지 철도가 닿게 됐지요. 하지만 이 철도는 일본과 미국의 기술·자본으로 건설됐기 때문에 .. 2020. 9. 23. [수학 산책] 2, 3, 5, 7처럼 더 이상 나눠지지 않는 수… 유클리드가 '무수히 많다' 증명했죠 [수학 산책] 2, 3, 5, 7처럼 더 이상 나눠지지 않는 수… 유클리드가 '무수히 많다' 증명했죠 소수(素數) 최근까지만 해도 밤낮으로 매미가 울어서 시끄러웠죠. 나라마다 다르긴 하지만 보통 매미는 산란한 후 수년간 땅속에서 애벌레로 보낸 뒤 성충이 돼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참매미와 유지매미의 생애 주기는 5년이나 7년이고, 미국 매미 중에는 13년, 17년의 생애 주기를 갖는 경우도 있어요. 그런데 이것은 모두 소수(素數·prime number)라는 공통점이 있답니다. 소수는 과학에서 말하는 '원자'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먼저 '원자'는 어떤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로 '더 이상 나누거나 분해할 수 없는 물질'이라는 뜻이죠. 이 원자처럼 어떤 수를 분해할 때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수'가 바로.. 2020. 9. 22. [식물이야기] 중앙아메리카가 고향인 '태양을 닮은 꽃'… 가을 되면 햇볕 따라다니지 않는대요 [식물이야기] 중앙아메리카가 고향인 '태양을 닮은 꽃'… 가을 되면 햇볕 따라다니지 않는대요 해바라기 노랗고 길쭉한 꽃잎이 촘촘하게 갈색빛 중심을 빙 둘러싼 모습이 마치 가을의 강렬한 태양 같습니다. 어른 키를 한참 넘어선 높이까지 자라서 아이 팔뚝만큼이나 큰 꽃을 피우네요. 가을이 성큼 다가온 지금, 양지바른 곳에서 화려한 꽃을 피워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해바라기입니다. 해바라기는 국화나 구절초와 같은 국화과(科) 식물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후 16세기에 유럽에 소개되면서 '태양의 꽃'으로 불리게 됐어요. 해바라기가 화려하게 느껴지는 건 해바라기가 작은 꽃들이 모여 이룬 커다란 꽃무리이기 때문이랍니다. 바깥쪽의 길쭉한 노란색 꽃잎은 제각.. 2020. 9. 22. [재밌다, 이 책!] 기독교·불교·유대교·이슬람교·힌두교… 서로 다른 '세계 5대 종교' 한눈에 봐요 [재밌다, 이 책!] 기독교·불교·유대교·이슬람교·힌두교… 서로 다른 '세계 5대 종교' 한눈에 봐요 종교가 된 사적인 고민들 마르흐레이트 데 헤이르 글·그림|정지인 옮김|원더박스|128쪽|1만3000원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유대교는 세계 5대 종교지요. 종교로 인해 문명이 번성하고 민족이 이동하고 문화가 교류하며 전쟁도 벌어집니다. 종교의 위력은 그야말로 막강해요. 유대교는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이 섬긴 여호와를 믿고 애굽(이집트)에서 벗어난 유월절을 특별한 식사로 기념해요. 오늘날 달력으로 3~4월에 해당하죠. 기원전 13세기 노예로 살아가던 유대인은 어린양의 피를 출입문에 발라 신이 내린 재앙을 피하고 이집트에서 탈출할 수 있었어요. 이날을 기념하며 유대인들은 양고기와 발효되지 않은.. 2020. 9. 21. [예쁜 말 바른 말] [158] '홀벌이'와 '홑벌이' [예쁜 말 바른 말] [158] '홀벌이'와 '홑벌이' 최근 뉴스 기사 일부입니다. '맞벌이 가구, 홑벌이 가구의 소득 기준에 따라 연간 지급액이 달라진다' '2주간 원격 수업 전환으로 홑벌이 부모와 맞벌이 부모가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부부가 모두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벎, 또는 그런 일'을 뜻하는 말인 '맞벌이'에 대응하는 말로 '홑벌이'를 쓰고 있네요. '홑벌이'는 '가정에서 한 사람만이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벎, 또는 그런 일'을 뜻하는 말이에요. 예를 들면 '우리 집은 홑벌이라 동료들에 비해 집 마련이 더욱 버겁게 느껴진다' '홑벌이 가정은 가장의 역할이 가족 생계와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와 같이 써요. '홑벌이'와 비슷한 말로 '외벌이'가 있어요. 예를 들면 '우리 집은 외벌이에 아이가.. 2020. 9. 21. [재미있는 과학] 프르제발스키를 복제한 이유… 유전적 다양성 높이기 위해서죠 [재미있는 과학] 프르제발스키를 복제한 이유… 유전적 다양성 높이기 위해서죠 동물 복제 최근 미국에서 중앙아시아 대초원이 고향인 야생마 '프르제발스키'의 복제 망아지가 태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말의 한 종인 프르제발스키는 상대적으로 짤막한 다리와 둥그스름한 체형 때문에 조랑말처럼 생겼는데요. 혹독한 추위와 남획 등으로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멸종 위기'에 놓였어요. 오늘날 야생종 2000여 마리가 몽골 초원에서 산다고 해요. 그렇다면 이 야생마를 복제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금 몽골 초원에서 사는 야생마가 모두 유전자가 비슷한 '친척'이기 때문입니다. 개체가 많아도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면 그 동물은 쉽게 멸종할 수 있어요. ◇수정 없이 똑같은 동물 만드는 복제 오랫동안 많은 사람은 오직 신.. 2020. 9. 20.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66 다음 728x90 반응형